오온(五蘊)은 불교에서 생멸ㆍ변화하는 모든 것을 구성하는 다섯 요소를 말한다.
불교에서는 우리들의 구체적인 현실존재를 해명하기 위하여 갖가지 법 체계가 설명되었으나, 그 대표적인 것이 5온설(五蘊說)이다. 온(蘊)이라는 것은 스칸다(skandha)의 역어로서 적취(積聚), 즉 '집합'을 의미하며 집합으로서 다른 집합과 구별되는 요소라는 의미도 된다. 따라서 5온이라 함은 원래 우리들 개인의 존재가 5개 요소의 집합으로 보지(保持)되고 형성되고 있다는 견해이다.
- '색(色, 肉體)'
- '수(受, 의식의 感受作用으로서의 감각)'
- '상(想, 의식 중 槪念·知覺·表象을 구성하는 작용으로서의 表象)'
- '행(行, 受·想 이외의 능동적인 심리작용으로서의 의지나 행동적 욕구)'
- '식(識, 대상을 분석판단하고 종합 인식하는 마음의 활동)
'수(受)' 이하의 4종은 마음에 관한 것으로서 '색(色)'인 육체와 합쳐서 5온은 몸과 마음, 즉 개인 존재를 가리키는 것이다. 반대로 말한다면 개인존재는 이 5온의 어느 것인가로 분해되며, 그밖에 '아(我)'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아무데도 존재할 수 없다(無我)는 것이다. 후에는 5온을 개인존재에서 확대 해석하여 일체법의 구성요소라고 하게 되었는데 그 경우에는 '색(色)'이 물질계를, '수(受)' 이하 마음에 관한 것이 정신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
반야심경은 오온이 공이다, 로 시작하여 인체의 감각기관이 없는 것이다, 라는 내용이다.
공즉 색 등의 미묘한 말들은 "생각의 이치"에 대한 설명이며,
무안계, 무의식계, 무노사 등의 말을 통해서, 눈으로 보는 세계 및 의식으로 느끼는 세계가 없는 것이며,
늙음과 죽음이 없는 것이다, 라고 설명되어 있다.
일체 유심조의 설명이다. 모든 것, 그리고 몸이 마음이 지어놓은 허상이라는 뜻이다.
반야심경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사념처, 사성제, 팔정도라는 말로 설명하고 있는,
일념의 삼매에서 이것(육체)이 내가 아님을 알아차림의 "생각의 이치"를 깨우침에서 가능한 일이다.
싯다르타의 모든 가르침의 핵심은 생각의 미묘한 이치에 대한 것이다.
불경은 싯다르타의 불이법문, 즉 해석할 수 없는 불립문자를 오해하여 해석한 전설에 불과한 것이다.
석가모니의 입적 500년 이후에 우상숭배를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기에 불경은 우상숭배에 촞점이 맟춰저 있다.
언어 안에서 진리를 찾을 수는 없다.
싯다르타와 예수의 가르침의 핵심은 일념의 집중, 즉 하루 종일 기도, 참선을 통해서 꿈에서 깨어나라는 것이다.
우상을 숭배하지 말라, 소리와 형상으로는 여래를 볼 수 없다, 라고 강조하였다.
욕망에 눈먼 자들, 맹신자, 광신자에 의해서 그들의 말이 왜곡된 것이다.
그들의 가르침은 단순하다.
생각의 미묘한 이치에 대한 가르침이다.
생각...... 모든 생각은 망념이다.
기도, 참선 등의 생각의 집중을 통해서 망념에서 벗어남이 천국이며 불국정토라 한 것이다.
생각은 끊임없이 감각기관의 느낌에 끌려다니듯, 대상을 찾아 방황하는 황당한 것이다.
방황하는 생각에 하나의 대상을 설정하여 그것에 집중함으로써 망념이 쉬게된다.
생각의 흐름을 한 생각에 집중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 몸의 관찰 및 화두에 집중하는 것이다.
예수의 말이라는 성경도 불경의 가르침과 다르지 않다.
석가모니와 예수의 말은 신화, 전설로 변질되어 전해질 수밖에 없는 것인가?
맹신자, 광신자들에 의해서 그들은 말은 전설로 변질될 수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불이일원론은 비교에 의한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기에 노자와 장자, 소크라테스등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인간의 본성이다.
생각의 미묘한 이치에 대한 설명이다.
경전의 말에 묶인 맹신자들에 의해서 진리는 왜곡될 수밖에 없다.
무한한 어리석음, 스스로 말에 묶여서 서로가 옳다는 싸움질을 할 것이다.
작은 논쟁, 큰 논쟁....... 그리고 서로 죽고 죽이는 싸움질......
불 보듯 뻔한 일이 아니던가.
지성이여, 귀 있는자여,
그들의 가르침을 바로 이해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