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제 22 장
曲則全(곡즉전) : 휘면 온전할 수 있고
枉則直(왕즉직) : 굽으면 곧아질 수 있고
窪則盈(와즉영) : 움푹 파이면 채워지게 되고
幣則新(폐즉신) : 헐리면 새로워지고
少則得(소즉득) : 적으면 얻게 되고
多則惑(다즉혹) : 많으면 미혹을 당하게 된다
是以聖人抱一爲天下式(시이성인포일위천하식) : 그러므로 성인은 <하나>를 품고 세상의 본보기가 된다
不自見故明(불자견고명) : 스스로를 드러내려 하지 않기에 밝게 빛나고
不自是故彰(불자시고창) : 스스로 옳다 하지 않기에 돋보이고
不自伐故有功(불자벌고유공) : 스스로 자랑하지 않기에 그 공로를 인정받게 되고
不自矜故長(불자긍고장) : 스스로 뽐내지 않기에 오래간다
夫唯不爭(부유불쟁) : 겨루지 않기에
故天下莫能與之爭(고천하막능여지쟁) : 세상이 그와 더불어 겨루지 못한다
古之所謂曲則全者(고지소위곡즉전자) : 옛말에 이르기를, 휘면 온전할 수 있다고 한 것이
豈虛言哉(개허언재) : 어찌 빈말이겠는가
誠全而歸之(성전이귀지) : 진실로 온전함을 보존하여 돌아가시오
'다다익선'이라는 말...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말로써 인간들의 무한한 욕망에 대해 칭송?하는 말인 것 같다. 그런데 성인?.. 도를 깨달은 인물? 들은 인간들의 욕망에 대해서 '우주보다 더 무한한 어리석음'이라고 단정짓는다.
인간들은 모든 것을 다 아는 것 같은데...
모든 것을 다 아는 것 같다는 말은 '옛말에 천석꾼은 천가지 걱정이 있고, 만석꾼은 만가지 걱정이 있다는 말과... 식자우환이라는 말이 있기 때문인데. 부자가 하늘나라에 가는 것보다는 낙타가 바늘귀에 들어가는 것이 더 쉽다는 예수의 비유와 같이 노자 또한 다다익선이 아니라 많으면 미혹을 당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노자의 도덕경 제 22 장의 구절들에 대해서 요약 설명해 본다면...
曲則全(곡즉전) : 휘면 온전할 수 있고
枉則直(왕즉직) : 굽으면 곧아질 수 있고
窪則盈(와즉영) : 움푹 파이면 채워지게 되고
幣則新(폐즉신) : 헐리면 새로워지고
少則得(소즉득) : 적으면 얻게 되고
多則惑(다즉혹) : 많으면 미혹을 당하게 된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천지만물이 그러하듯이 인간이 태어나서 죽어가듯이... 모든 것들은 인간의 생로병사와 같이... 원인없이 나타나지만, 끊임없이 변해가다가 사라지고, 또 다시 생겨나는데... 세상에 완전한 것은 있을 수 없다는 말이다.
휘었기 때문에 바르게 할 수 있는 것이며, 굽었기 때문에 펼수 있는 것이며, 헐렸기 때문에 다시 지을 수 있는 것이며, 적기 때문에 얻게 되는 것이며, 많기 때문에 미혹을 당한다는 뜻이다.
많으면 많을수록 더 많아져야만 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더 많은 것을 얻으려 하는 것이 인간의 무한한 어리석음이지만... 아득한 옛날과 비교해 본다면... 물질에 대한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지만... 몰질이 풍부하다고 하여 행복한 것이 아니며, 평화로운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인간 세상... 완전한 것이 없는 세상이기 때문에 완전한 세상이 있다는 말과 다르지 않은 말이며, 도를 깨닫는 것이 자아의 완성이라는 말과 같이 진정한 자유와 평화, 행복을 위해서는 오직 '도'를 공부해야만 한다는 말이 인류 성인, 스승들의 한결같은 가르침이다.
是以聖人抱一爲天下式(시이성인포일위천하식) : 그러므로 성인은 <하나>를 품고 세상의 본보기가 된다
不自見故明(불자견고명) : 스스로를 드러내려 하지 않기에 밝게 빛나고
不自是故彰(불자시고창) : 스스로 옳다 하지 않기에 돋보이고
不自伐故有功(불자벌고유공) : 스스로 자랑하지 않기에 그 공로를 인정받게 되고
不自矜故長(불자긍고장) : 스스로 뽐내지 않기에 오래간다
인간들은, 아니 인간의 관념, 버릇, 습관... 등의 생각의 작용에서 비롯된 인간의 지식은 자신이 자신의 나를 모르기 때문에 남들에게 보이기 위해서 살아갈 수밖에 없지만, 그들은 드러내기 위해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며, 부와 명성을 위해서 뛰어다니지 않는 다는 뜻이며, 더 중요한 말은 진리에 대해서 진리라고 주장하지 아니한다는 뜻이다.
그것이 무엇이든지간에 주장한다는 것은 '주장하는 것' 그 자체가 옳지 않기 때문이다. 진정으로 참다운 것이며 영원한 것은 주장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진리가 그러하다.
그것에 대해서 진리라고 주장한다면 이미 어긋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를 만남에 대해서 백천만겁 난조우의 인연이라는 말까지 창조된 것이며, 오직 일념법 수행을 통해서 일념의 뜻에 대해서 올바르게 알때, 그때 비로소 '도'라는 말에 대해서 조금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들의 말, 말, 말들... 드러내지 않고 뽐내지 않더라도 인간들이 존재하는 한 영원히 진리의 말로 남겨질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물론 예수의 말이나 석가모니의 말은 이미... 종교 나부랭이들에 의해서 완전하게 왜곡되어 변질되었으니.
夫唯不爭(부유불쟁) : 겨루지 않기에
故天下莫能與之爭(고천하막능여지쟁) : 세상이 그와 더불어 겨루지 못한다
古之所謂曲則全者(고지소위곡즉전자) : 옛말에 이르기를, 휘면 온전할 수 있다고 한 것이
豈虛言哉(개허언재) : 어찌 빈말이겠는가
誠全而歸之(성전이귀지) : 진실로 온전함을 보존하여 돌아가라
겨루지 않기에... 다투지 않기에... 세상에... 세상 어느 누구도 그와 겨룰 수 있는 자는 있을 수 없다는 말며, 이에 대한 석가모니의 말은 '세상에 나와 비견할 자가 없다'는 말이다. 인간은 언어의 근원에 대해서 알 수 없으나... 도를 깨달은 자는 언어의 근원을 알기 때문이다.
어린아이와 같고, 다듬지 않은 통나무와 같고, 순수하여 바보 같이 보이지만... 세상 어느 누구도 도를 깨달은 자와 겨룰 수 없다는 말임과 동시에 다투지 않는다는 말인데... 인간들의 앎이 올바른 앎이 아니기 때문에 가치 없는 다툼을 하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어차피 중생들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져 여여하게 바라볼 뿐, 분별하지 아니한다는 뜻이다.
항상 하는 말이지만 인간들은, 지성은 서로가 옳다고 주장하거나 잔소리 하기를 좋아하는데... 그것이 무한한 어리석음이다. 인간들이 서로가 잘난체 하거나 잔소리를 하는 이유는 오직 자신의 관념이 옳다고 생각하기 때문인데, 자신의 관념이 옳다고 주장하는 까닭은 자신의 마음을 모르기 때문이다.
만약에 인간이 조금, 아주 조금만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 볼 수 있다면 잔소리든 옳은 소리든... 쓸모없는 헛소리들을 하지 않을 것이니... 가족이든 모임이든, 그들은 화목한 집단이겠지만, 세상에 그런 집단은 있을 수 없으며, 오직 있을 수 있다면, 도를 공부하는 거룩하고 많이 아는 거룩한 인물들의 모임일 것이다.
자신의 마음조차 자신의 뜻대로 조종할 수 없는 자들이 타인의 마음을 자기 뜻대로 하고자 하는 어리석음이 평화가 아닌 불화의 원인이라는 사실에 대해서 정녕 인식조차 할 수 없단말인가?
이렇게 살아야 평화로운 삶이다, 저렇게 사는 것이 평화로운 삶이다... 라고 아무리 떠들어 본들 무엇하겠는가만은... 한가지 알아야 할 것이 있다면, 그대의 모든 주장이 오직 그대 자신만이 옳다는 그릇된 관념에서 비롯된 어리석음이라는 뜻이다.
부부간이든, 가족간이든, 형제간이든, 친구간이든... 그대를 주장하지 말라는 뜻이다. 왜냐하면 그대가 오직 그대의 관점만이 옳다고 여기듯이 그대의 모든 대상들 또한 자신의 관점이 옳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러니... 서로의 관점에 다르니, 듣는 척 하는 것일 뿐, 속내는 다를 수밖에 없으니 논란이며 분란일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자신의 마음 조차 조종할 수 없는 사람이 대상의 마음을 어찌 알 수 있겠는가?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마음을 알라는 말이 곧 '너 자신을 알라'는 말이며, 자아의 완성을 위해서는 오직 일념법 수행이 유일한 방법이라고 했다. 그 이유는 오직 일념법으로써만 생각의 미묘한 생멸현상 작용에 대해서 깨달아 알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도'를 공부하는 목적은 평화로운 삶을 위해서이며, 올바른 인생의 길을 알기 위함이다.
이렇게 살거나 저렇게 살거나... 어떤 방법으로써도 인생에 해답이 없기 때문에 해답을 찾았던 인물들로부터 전해져 오는 유일무이한 방법이 일념법이라고 했으며 노자의 말, 말, 말들 또한 도를 깨달은 자의 말로서 석가모니나 예수의 말처럼 왜곡됨이 없기 때문에 해석하는 것이다.
노자의 도덕경을 통해서 그대에게 평화 있기를...
지금 이 글을 볼 수 있는 그대가 진정한 지성인이라면... 석가모니와 예수의 본질이 노자의 말과 같은 뜻이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그때 비로소 종교간의 분쟁 또한 사라질 수 있지 않겠는가?
도를 공부하는 일.
작게는 자신의 자유와 평화를 위한 길이며, 나아가 인류의 평화를 위한 유일한 길이며 방법이기 때문에 그 길을 알리는 것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