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의 효과와 알아차림 - 3>고통과 두려움의 원인과 치유 / 진정한 자유란? / 사유란? 인간이 죽음을 두려워 하는 이유는 죽음을 경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세상사 모든 일들이 그러하다. 만약에 인간이 살아 있으면서 죽음을 경험할 수 있다면 죽음이 두려움이 아니라 깊이 잠든 동안과 같이 진정한 휴식이라는 사실에 대해서 사실을 사실 그대로 알게 될 것이다. '노자와 .. 카테고리 없음 2014.02.15
인간은 무엇인가?- 1> 인간이 무엇인지 모르는 것이 인간이다 / 논리와 논란 / 무엇을 인간이라고 하는 것인가 인간은 인간이면서 인간의 근원이 무엇인지 모른다. 아니. 굳이 알아야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인간이 더 많은 것 같다. 사실은 알아야 할 필요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인간은 인간의 기원을 아는 일은 다른 일에 비해 더 중오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실은 꼭 그런 .. 카테고리 없음 2014.01.01
믿음. 소망. 사랑 / 겨자씨 만큼의 믿음이 있다면 이산을 저산으로 옮길 수 있다 예수의 가르침에 대한 인간들의 사고방식으로써는 '믿음'과 '소망' 그리고 '사랑'이라는 따듯한 말인것 같은데, 과연 정작 예수를 믿는 자들의 언행에 대한 통념은 어떠할까? 예수를 믿어야만 죽은 다음에라도 천국에 갈 수 잇으며, 예수를 믿지 않으면 삶도 지옥인데, 죽어서도 지옥에 간.. 카테고리 없음 2013.08.28
운명과 마음 - 인간에게 자유의지란 없다 통념, 관념, 관습, 습관, 업, 전생의 업이라는 말, 말, 말들... 그리고 운명과 숙명, 등... 언어... 모든 말, 말, 말들... 결국엔 마음, 개체적 자아의 개념이며 개개인의 관념(=관습)에서 비롯된 마음의 작용에 대한 표현들이다. 그리고 마음... 흔히 성찰, 자아탐구, 관찰, 관, 관법, 다르마, 카르.. 카테고리 없음 2012.10.07
깨달음. 도의 경계 - 4단계 도의 경지 또는 깨달음, 부처가 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참다운 앎, 지혜의 정도를 표현하는 말들이 무수히도 많은것 같다. 대부분이 석가모니의 가르침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중국의 옛 선사들의 말을 통해서 전해져 온 것들이다. 카페 메뉴의 지인들의 게송, 가르침을 통해서 그들의 경계를 엿볼 수 .. 카테고리 없음 2011.07.12
인간의 굴레 - 10) 생각의 굴레. 총론 인간의 굴레라는 말은 인간이 스스로 평화로울 수 없기 때문에 창조된 말이다. 인간류가 수천년을 살아오지만 어떻게 살았든지, 어떻게 살든지, 어떻게 죽든지... 인간의 삶, 인생이라는 것의 결과는 죽음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알게된 것이다. 인간은 과겨의 세계를 기억하며 못사는 나라, 잘 사는 .. 활성산소의 근원 · 현대의학의 허구 2011.07.12
佛法. 不法. 無法의 차이 불법과 불이법은 같은 뜻의 다른 표현이다. 석가모니 불의 불법의 본래의 뜻은 아닐 불자의 불법과 없을 무자의 무법이 우상숭배사상으로 왜곡되면서 부처불자의 불법으로 전해진 것이다. 금강경의 마지막 부분에 설명된 내용이지만 우상에 세뇌당한 성직자, 광신자, 맹신자들은 그 뜻에 대해서 이해.. 카테고리 없음 2011.07.11
화두(話頭) - 연재 - 5) 신비한 주문, 화두일념 화두는 일념을 위한 도구라고 하였다. 그리고 일념이란 한구절의 문구만을 끊임없이 생각하는 정신집중이다. 정신집중이라는 말은 생각, 생각, 생각을 한구절의 화두에 집중함을 뜻하는 말이다. 끊임없이 한 생각만을 유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방편을 들어 설명한 바 있으나, 더 자세히 설.. 카테고리 없음 2011.06.14
인간이 살아있는 동안에 꼭 해야 할 일. 어떤 사람이... "누군가가 다가와서 무슨일을 하셨습니까?" "하루종일 무슨일을 했으며 또 무슨일을 할 예정입니까?" 라는 물음에... 나는 항상... "마음을 찾고 있습니다" "과거도 미래도 있는 것이 아니니, 지금 마음을 찾아야지요" 라고 말할 수 있다면 그는 참다운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다. 자신의 나.. 카테고리 없음 2011.05.29
인간은 감정의 동물인가? 감정이라는 말에 대한 사전의 설명은 느낌으로 일어나는 마음 기분... 즉 슬픔, 기쁨, 좋음, 싫음 따위의 심리상태라고 설명되어있다. 그리고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라고 당연시한다는 것이다. 정녕 감정의 동물인줄 안다면 그 감정을 다스릴 수 있다면 어떠할까? 항상 기쁨, 즐거운 감정일 수 있다면 어.. 카테고리 없음 2011.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