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란 11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 데크르트의 이원론 - 탈래스의 물질론/ 지식의 오만과 편견 그 무지와 어리석음의 한계 - 진실된 지식, 도, 깨달음, 진리

최진석, 노자 인문학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저자 최진석 출판 위즈덤하우스 발매 2015.03.12. 상세보기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은 최진석 교수가 EBS 《인문학 특강》에서 강연한 강의를 정리해 엮어낸 책입니다. 노자 사상을 가지고 현대인들에게 삶의 통찰을 제공하려는 것인데..

카테고리 없음 2016.05.29

예수의 자취/ 예수의 방언 -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니... 진리와 자유의 깊고 깊은 뜻/ 불생불멸이란?

사실, '일체유심조' 라는 말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일체유심조의 더 깊은 뜻"을 아는 사람이 없으며... 인간의 관념으로써 "일체유심조"의 더 깊은 뜻에 대해서 이해 조차 불가능한 까닭은... "인간은 누구나 [내가 생각한다, 나는 생각하는 사람이다] 라는 자아도취에 빠져 있기 때..

행복의 조건/ 인간에게 행복이 있다면... 죽음에 대해서 이해 아는 것...

인간이 행복할 수 없는 이유는 죽음을 모르면서 사는 삶의 목적지가 죽음이 아닐 수 없기 때문이다. 사실 죽음을 모르는 사람으로써의 삶이 행복할 수 있다면, 그것은 어불성설이다. 왜냐하면 죽음을 두려워 하는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하는 것은, 불치병환자가 '나는 행복한 사람이다'고 ..

행복의 조건과 인생의 목적과의 관계/ 지식의 허구와 진리에 대한 사유 - 영원한 행복으로의 초대/ 스스로 아는 앎이란?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서 산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런데 그런 사람들의 삶에는 후회 없는 삶이 없다. 그런데 인간은 인간들의 삶에 있어서 왜, 후회 없는 삶이 있을 수 없는지에 대해서 조차 올바르게 이해 할 수 없는 지식에 대해서 의심조차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사실, 그렇기 ..

[식. 육식]의 정의(正意)/ 연기법과 윤회 - 지식의 총체적 무지와 올바른 앎/ 진리란?

사실 '識'식' 이라는 낱말의 본래의 뜻은 단순한 말이며, '앎 식'자로써의 '지식'을 이르는 말이다. 그 앎은 단지, 지식으로써의 아는 앎만들 이르는 앎이 아니라... 어린아이서절부터 타인들로부터 듣고, 보고, 배웠던 모든 앎을 이르는 말로써, 인간들이 사용하는 모든 언어를 이르는 말이..

[해탈(解脫)] 의 정의(正意) - 지식의 총체적 무지와 진리의 올바른 앎

해탈(解脫, 산스크리트어: mokṣa, 산스크리트어: mukti)은 자유(自由) 또는 해방(解放)을 뜻하는데, 몸과 마음의 고뇌와 속박의 원인인 번뇌로부터 해방되는 것 또는 벗어나는 것, 또는 해방된 상태 또는 벗어나 있는 상태를 말한다.[1][2] 해탈에 대한 사상은 불교 이전부터 인도의 사상계..

[죽음]의 정의(正意) - 죽음은 죽음이 아니다/ 경험자가 없기 때문이다

죽음. 본래 있는 것이 아니다. 산자는 결코 죽음을 경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인간은 죽음이라는 말에 대해서 타인들로부터 듣고 배운 말들에 바탕을 두고 죽음에 대해서 상상하는 것이다. '죽음'이라는 말이 있기 때문에 죽음이 있는 것이다. '死後세계' 또한 그러하다. '죽음'이라는..

암환자는 생체실험용 마루타인가? 의료사고에 대한 논란/ 인류의 총제적 무지와 히포크라테스의 진리 - 가해자는 누구이며, 피해자는 누구인가?

사실. 인간이 추구하던 지식의 결과가 현시대이며, 눈부신 발전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것 같다. 하지만 문명의 발전으로써 인간세상이 더 평화로운 세상이거나 행복한 세상은 아닌 것 같다. 사실 인간세상의 역사로 보더라도... 인간세상이 행복했던 시대는 없었으며, 미래세상 또한 그러..

기도의 7 가지 공덕/ 기도의 기적적인 효과에 대한 과학의 증명 / 기도수행 - 인간의 근원적 무지... 기도의 공덕

의학적인 통계가 말해주는 기도의 능력... 과학적 근거... 기도도량... 백일, 천일기도... 백배, 천배, 삼천배 기도... 기도수행... 기도원... 기도의 종류 축복 기도[祝福祈禱] 예배를 마칠 때, 목사가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하나님께 성도들의 축복을 비는 기도 봉헌 기도[奉獻祈禱] 미..

인문학 열풍의 그 허구 - 위르겐-하버마스 / 미셀-푸코의 통합적 사회구성에 대한 사고방식

인문학의 열풍... 자주 학자들의 지식언어는 사람들의 삶의 핵심에서 만들어내는 문제라는 것의 제기와 그것에 대한 답변을 찾기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 문제라는 것....있다면 있는 것이어서 사회현상을 바라보는데는 이 문제라는 것의 있음은 공히 동의하는 것 같다. 그럴수밖에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