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의 허구 15

스칸다(죽음)명상과 네티(아니다) 명상/ 의식의 확장 - 인간의 사념들 그 무지와 어리석음의 한계

고대 인도의 수행방법들이 현시대 까지 어어져 오고 있다. 현 시대가 문명시대라는데, 과연 고대 인간들의 사고방식과 현시대 인간들의 사고방식의 차이는 무엇일까? 사실, 인간류의 지식은 말만 무성해진 것일 뿐, 지식은 현시대까지도 고대인간들의 말의 뜻 조차 이해 할 수 없는 것 같..

[지복] 의 正意(올바른 앎) / 인류의 총체적 무지와 진리- 소크라테스, 예수, 석가모니의 자취

'지복'은 지복이라는 말이며, 이름이다. 그리고 본래 없는 것이다. 사실 경험에 바탕을 둔 사고방식으로써의 삶으로써는 경험할 수 없는 것이, 지복이라는 말이다. 왜냐하면, 지복이라는 말이 있는 것일 뿐, 사실적인 것이 아니며 실체가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 지복이라는 말 뿐만이..

사념처. 팔정도. 육바라밀. 참선... 명상과 수행 그 오해와 진실/ 불경의 오류 - 지식의 무지와 어리석음의 한계/ 석가모니의 자취

사실 인간은 인간의 근본원인이 무엇인지 조차 이해 할 수 없는 지식으로써 석가모니의 말과 예수의 말을 왜곡하고 변질시키고, 더 나아가 그들의 진리, 진언들에 대해서까지도 서로가 옳다고 주장하는 어리석음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 같다. 사실 가장 낮은 단계의 하근기 중생들이 그..

깨달음은 없다/ 명상과 불교, 종교 경전의 오류/ 위빠사나에 대한 망상- 지식과 진리/ 경험의 오류에 대한 사유

사실. 인간에게는 깨달음이 있다.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사실. 깨달은 자들에게는 깨달음이 없다. 왜냐하면 그들에게는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사실. 마음이 있다는 말과 마음이 없다는 말은 상대적인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있다'고 주장하거나 '없다'고 주장한다면 단견이며, 편견이며..

깨달음. 도. 진리 - 무엇을 아는 앎을 이르는 말인가? / 식자우환. 지식의 어리석음과 난치. 불치병과의 관계

인간의 어리석음이 무한한 까닭은 말, 말, 말애 대해서 제각기 상상하고 자기만의 상상속의 생각에 대해서 주장하는 것에 대해서 지식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지식이 수많은 말을 창조해 냈으며, 무수히도 많은 말들을 끊임없이, 끝없이 창조해 내는 까닭은 올바른 앎이 겨자씨 만큼도 ..

카테고리 없음 201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