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형성과 생각에 대한 이해 <1> 앞서 설명한 요점정리 1. 우상숭배에서 벗어나야만 된다. 2. 경전의 어느 구절에도 얽매여서는 아니된다. 3. 나는 "이런사람이다" 에서 "나는 저런사람이 될 것이다" 라는 생각에서 벗어나야만 된다. -----수행의 목적은 "생각의 뿌리" 를 찾기위함이다. ------ 마음이 무엇인가? 첩첩산중의 계곡과 계곡을 .. 카테고리 없음 2009.07.02
신의 실체 / 인간의 근원 모든 사람은 태어나기 전에 신이었다. 태어나서는 신 안에 흡수되었기에 신이라는 생각도 없다. 사람으로 태어났기에 이미 신의 밖으로 쫒겨난 것이다. 인간은 자신의 마음을 모름에 따라서 희노애락과 생노병사의 고통을 받는다. 스스로의 마음을 모름을 당연시 하면서도 다른 나의 마음에 대해서 .. 카테고리 없음 2009.06.30
위빠사나, 화두수행 시작하기 전의 인식...... 수행의 목적은,,,,,, 인간의 본질과 우주의 본질을 깨우치기 위함이며, 세상사 모든 일에 대한 의구심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이다. 이는 인간, 인류의 모든 앎이 그릇된 앎임을 깨우치는 일이며, 신의 실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인간의 고통과 번뇌의 원인 및 본래 없음의 이치를 깨우침과도 같은 말이며,,.. 카테고리 없음 2009.06.30
나는 이런사람이다 / 지성의 허구 <4> 자아는 이기주의이다. 개체적 자아, 즉 이기주의자와 이기주의자의 모임이 사회이며 인류이다. 이기주의라 함은 자신의 나만을 위한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을 표현하는 말이다. 그리고 자아는 실존이다. 다른 물건들은 대체되거나 만들어질 수 있는 것들이기에 실존일 수 없다. 오직 개체적 자아는 대.. 카테고리 없음 2009.06.29
신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정의 1900년대? 즈음에 신지학회, 또는 신지학이라는 명칭이 생겨났다. 인도의 철학?으로 알고있는 '불이 일원론' 을 근거로 하여 미국 등지에서도 한 시절 관심의 대상이었다. 유지 크리슈나무르티의 생존시에 있었던 것 같으나 이는 중요한 일은 아니다. 에고는 불법으로 알려진 불이법, 불이 일원론을 이.. 카테고리 없음 2009.06.28
위빠사나 / 관찰 수행의 자세---<1> ---붓다, 부처님에 대한 이해--- '도를 닦는 사람들' 이 많아지는 이유는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 인간의 본질을 알려하는 욕망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일상을 통하여 욕망이 걸코 만족으로 해결될 수 없음을 간파한 사람들일 수도 있으나, 대부분은 지금의 나에서 탈피하여 좀더 특별한 나의 완성을 위.. 카테고리 없음 2009.06.28
무엇을 수행이라 하는가 수행의 목적은, 자아의 삶은 이기주이에서 벗어날 수 없는 삶의 결과, 즉 인생은 허무한 나그네일 뿐이다. 개체적 자아인 이기주의의 집단이 인류이며, 자아는 자신의 마음을 모름에 대해서 당연시 하기에 고통을 받는다. 마음의 바탕에는 유한한 육체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깔려 있기에 모든 행위.. 카테고리 없음 2009.06.27
세간해 [世間解] [명사]<불교> 세간해 [世間解] [명사]<불교> 여래 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세상의 모든 것을 안다는 뜻으로...... 사람은 자신의 마음을 모름에 대해서 당연시 한다. 자신의 나를 모르면 모든 것을 알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것이며, 자신의 나를 알면 아무것도 모르지만 모르는 것이 없는 것이다. 이를 들어서 소크.. 카테고리 없음 2009.06.26
나는 이런 사람이다 의 허구 (3) 나는 누구인가? 나는 이런사람이다, 라는 나는 지성체이다. 지성체라는 말은 지성과 몸이 하나라는 뜻이다. 지성은 지식(학습과 경험의 기억)이다. 육체는 마음(생각, 지식)이 없이는 행위할 수 없기에 수동적이며, 하나의 도구이다. 생각이 쉴때, 즉 깊이 잠들어 있을 때에는 행위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카테고리 없음 2009.06.26
종교의 본질 및 실체 인간은 지성체이다. 지성체는 이기주의 적일 수 밖에 업다. 이기주의라 함은 오직 자신의 나를 위한 삶을 살아갈 수 밖에 없음을 뜻하는 말이다. 지성체인 이기주의를 초월한 인물들이 있었며 그 인물들의 연설이 '불이 일원론' 이라는 말로 표현된다. 불이 일원론은 불이법, 또는 불립문자 등으로 표.. 카테고리 없음 2009.06.25